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지역화폐 운영사 코나아이 간의 특혜 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로 재직하는 동안 지역화폐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했고, 그 과정에서 코나아이가 유독 많은 수혜를 입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문제는 단순한 오해로 치부하기엔 금액 규모가 상당하다. 코나아이는 경기지역화폐 운영사로서 수조 원대의 사업을 족점적으로 맡았으며, 이에 따라 막대한 수수료를 챙겼다. 이 과정에서 이재명 대표와의 유착 가능성이 제기되었고, 여러 차례 경찰과 검찰의 수사 대상이 되었다.
1. 지역화폐 사업과 코나아이의 독점
이재명 대표는 성남시장 시절부터 지역화폐를 적극 도입했고, 경기도지사 재임 중에는 이를 더욱 확대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특정 기업인 코나아이가 지속적으로 덕점적 지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경기도 지역화폐 운영은 공개경쟁 입찰이 아닌 수의계약 방식으로 진행된 바 있으며, 코나아이는 2022년부터 3년간 3조 원 규모의 경기지역화폐 사업을 담당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부여한 것으로,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졌는지 의문을 남긴다.
2. 코나아이과 이재명 측근의 연결고리
코나아이의 핵심 임원중 일부는 과거 성남시청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이 때문에 코나아이가 이재명 대표와의 인맥을 통해 특혜를 받은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2024년 경찰 수사에서 불송치 결정이 내려졌으나, 이는 "혐의 없음"이 아니라 "증거 불충분"이라는 결론이었다. 검찰도 이후 추가 조사를 진행했으며, 2024년 8월에는 코나아이 경영진의 비리 혐의로 압수수색이 이루어졌다. 비록 이재명 대표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수사가 끝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3. 막대한 수수료 논란
코나아이는 경기지역화폐 운영을 맡으면서 상당한 수익을 올렸다. 특히 지역화폐 결제 시스템을 족점적으로 운영하며, 수수료 수입이 급증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경기도 예산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2023년 국정감사에서는 코나아이가 지역화폐 운영 과정에서 과도한 수수료를 챙겼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운영할 경우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4. 정치적 논란과 책임론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와 코나아이 간의 관계를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3조 원대의 예산이 특정 기업으로 몰린 점에 대해 "명백한 특혜 의혹"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 같은 의혹이 근거 없는 정치 공세라고 반박하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그러나 이미 검찰과 경찰 수사가 여로 차례 진행된 만큼, 단순한 정치 공세로만 볼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
5. 결론: 해명이 필요한 의혹들
이재명 대표와 코나아이 간의 특혜 의혹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 경찰과 검찰의 수사 결과가 나오더라도, 막대한 세금이 특정 기업으로 흘러들어 간 과정이 정당 했는지에 대한 의문은 남아 있다
더욱이 코나아이의 독점 구조가 지속될 경우, 앞으로도 유사한 논란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며, 이재명 대표 또한 이에 대한 정치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지역화폐라고 하는 상품권은 돈세탁하기 좋고, 돈 빼돌리기 좋다. 그리고 불법으로 지급하기 좋고 불법 정치 자금으로 쓰기도 좋다. 이런 걸 계속해서 요구하는건 무언가 있다는 거 아닌가? 예를 들어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전 국민에게 25만 원 지급한다고 했을 때,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로 지급하려고 하고 있다. 코나아이를 통해서 지급을 해야 하고 여기서 또 어마한 수익을 챙길 것으로 생각이 든다. 제발 안 받아도 되니 돈 좀 그만 뿌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현 기자회견, 논란의 중심에서 밝힌 입장은? (0) | 2025.03.14 |
---|---|
당뇨가 오는 과정, 인슐린, 당뇨병 (0) | 2025.03.13 |
'배구여제' 김연경, 올 시즌 끝으로 은퇴...영원히 기억될 그녀의 발자취 (0) | 2025.02.23 |
더클래스 왁스 제품 '불렛 L001' 리뷰 (0) | 2025.01.21 |
BYD의 첫 국내 출시 모델: 아토3 (0) | 2025.01.17 |